반응형
창문형 에어컨 찬바람 안 나올 때? 원인 5가지와 자가 진단법
여름철 필수 가전인 창문형 에어컨,
작동은 되는데 찬바람이 전혀 안 나올 때 당황스러우셨죠?
이는 단순 필터 문제부터 냉매 누설, 센서 고장까지 원인이 다양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창문형 에어컨에서 찬바람이 안 나올 때 확인해야 할 대표 원인 5가지와 셀프 점검 방법을 안내드립니다.
1. 냉매 부족 또는 누설
설명
냉매는 에어컨의 ‘냉기를 만드는 가스’입니다.
누설되면 아무리 팬이 돌아도 냉방이 되지 않습니다.
점검법
- 전원 켜고 10분 뒤 송풍 온도 체크
- 찬기운 전혀 없음 → 누설 의심
- 냉매 충전은 전문가 의뢰 필요 (누설 먼저 점검)
2. 필터 막힘
설명
먼지가 많은 환경이나 장기간 미사용 상태에서
필터가 막히면 내부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냉기 전달이 되지 않습니다.
점검법
- 전면부 필터 탈거 후 먼지 여부 확인
- 미지근한 물로 세척 후 완전 건조
- 2주~한 달 간격으로 청소 권장
3. 열교환기 결빙
설명
내부 코일에 성에가 껴서 냉기 흐름이 막히는 현상입니다.
설정 온도가 너무 낮거나 환기 부족 시 자주 발생합니다.
점검법
- 전면 커버 열고 코일에 얼음 확인
- 전원 OFF 후 문 열고 해동 (2~4시간)
- 이후 필터 청소 및 온도 24~26도로 재설정
4. 외기 온도 과열
설명
창문형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형입니다.
외부 온도가 너무 높으면 냉방 효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.
점검법
- 에어컨 외부가 직사광선에 노출됐는지 확인
- 그늘막 설치 또는 창 외부 열차단 조치
- 장시간 연속 가동 시 1시간 이상 휴식 권장
5. 설정 모드 오류 (송풍 모드 작동 중)
설명
의외로 ‘냉방’이 아닌 ‘송풍’ 모드로 설정된 경우도 많습니다.
점검법
- 리모컨의 모드(MODE) 버튼 확인
- ‘냉방’ 모드(❄️)인지 체크
- 온도는 최소 2~3도 낮게 설정
요약 정리표
원인 증상 자가 점검 조치 방법
냉매 부족 | 바람은 나오나 시원하지 않음 | 송풍 온도 측정 | 냉매 충전 |
필터 막힘 | 냉기 약하고 소음 발생 | 필터 분리 | 세척 후 재장착 |
결빙 | 냉기 없음 + 물 떨어짐 | 코일 성에 확인 | 해동 후 사용 |
외기 온도 과열 | 처음만 시원, 이후 미지근 | 창문 외 열기 확인 | 휴식 또는 그늘 설치 |
설정 오류 | 바람 세지만 시원하지 않음 | 리모컨 확인 | 냉방모드 전환 |
참고 팁
- 필터 청소 → 해동 → 리셋 순으로 점검
- 증상이 반복되면 냉매 점검이 가장 핵심
- 잦은 고장 반복 시 제품 교체도 고려
반응형
'전자제품 > 에어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창문형 에어컨 실외기(팬)가 안 돌아갈 때 (0) | 2025.06.26 |
---|---|
창문형 에어컨 물이 샐 때 (1) | 2025.06.26 |
창문형 에어컨 에러코드 5가지 총정리 – 증상과 대처법 (0) | 2025.06.25 |
에어컨 리모컨이 작동하지 않을 때? 점검해야 할 4가지 포인트 (0) | 2025.06.07 |
에어컨에서 물이 새요? 물이 떨어지는 4가지 이유와 해결 방법 (1) | 2025.06.07 |